티스토리 뷰

기초생활보장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인상

기초생활보장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인상 및 대상 확대 2025년과 2026년 기초생활보장 급여(생계·의료·주거·교육)의 인상 및 대상 확대를 위한 기준 중위소득이 역대 최대 수준으로 인상되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제도 개선이 추진됩니다.

 

[소액 결제 대출]

 

2025년 기준 및 인상 내용

기준 중위소득 역대 최대 인상 (6.42%):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이 6.42% 인상되어, 복지 서비스 접근성이 확대되었습니다.

생계급여 선정기준 상향 및 대상 확대: 선정기준이 기준 중위소득의 30%에서 32%로 상향됨에 따라, 약 21만 명(2023년 발표 기준)이 추가로 생계급여를 받을 수 있게 됩니다.

> 2025년 생계급여액: 4인 가구 기준 월 약 11.8만 원, 1인 가구 기준 월 76.5만 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2026년 기준 중위소득 및 급여별 선정 기준

아래 표는 가구원 수별 2026년 기준 중위소득과 급여별 선정 기준액을 정리한 것입니다. 

가구원 수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생계급여 선정
기준(32%) 

의료급여 선정
기준(40%) 

주거급여 선정
기준(48%) 

교육급여 선정 
기준(50%)

1인 가구 

2,564,238원 

820,556원 

1,025,695원 

1,230,834원 

1,282,119원

2인 가구 

4,204,447원 

1,343,773원 

1,681,779원 

2,018,135원 

2,102,224원

3인 가구 

5,359,038원 

1,714,892원 

2,143,615원 

2,572,338원 

2,679,519원

4인 가구 

6,494,738원 

2,078,316원 

2,597,895원 

3,117,474원 

3,247,369원

5인 가구 

7,614,025원 

2,436,488원 

3,045,610원 

3,654,732원 

3,807,013원

6인 가구 

8,720,296원 

2,790,495원 

3,488,118원 

4,185,742원 

4,360,148원

*참고: 7인 가구 이상의 기준 중위소득은 6인 가구의 기준 중위소득에 1인 증가 시 추가되는 금액을 더하여 계산합니다.

 

의료급여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2024년부터 중증 장애인에 대한 부양의무자 기준을 완화했으며, 2025년에는 부양의무자 소득 수준이 연 1.3억 원(월 1,084만 원) 이상이거나, 재산이 9억 원(2024년 10월부터 12억 원) 이상일 경우만 부양의무를 부담하게 됩니다.

주거급여 선정기준 상향: 선정기준이 기준 중위소득의 47%에서 50%로 상향되어, 약 20만 명이 주거급여를 추가로 받게 됩니다.

> 2025년 주거급여액: 1인 가구 기준 114.8만 원, 4인 가구 기준 292.6만 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자동차 재산 기준 완화: 10년 이상 된 2,000cc 미만 승용차, 가액 500만 원 미만 승용차 등 자동차 재산 기준이 완화되었습니다.

 

[소액 결제 대출]

2026년 예정 내용

기준 중위소득 역대 최대 인상 (6.51%):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은 2025년 대비 6.51% 인상됩니다.

생계급여 선정기준 상향: 선정기준이 기준 중위소득의 32%에서 35%로 상향될 예정입니다.

 > 2026년 생계급여액: 1인 가구 기준 월 82만 556원, 4인 가구 기준 207만 8,316원으로 인상될 예정입니다.

 

주거급여 기준임대료 인상: 2026년에는 임차가구에 대한 기준임대료가 급지 및 가구별로 1.7만 원에서 3.9만 원(4.7~11.0%)까지 인상됩니다.

교육급여 지원 확대: 교육급여 지원금도 2026년에 추가로 인상될 예정입니다.

 

 

제도 개선에 대한 평가

긍정적 평가: 정부는 이번 조치로 저소득층의 생활 안정과 자립을 지원하고 빈곤 사각지대를 해소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우려의 목소리: 일부에서는 급여가 인상되면서 근로 의욕을 상실하는 '복지 함정'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주의: 정확한 지원 금액 및 상세 기준은 개인의 소득 및 재산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거주지 행정복지센터(구 주민센터)나 복지로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취약계층 지원 복지혜택]

 

취약계층 지원, 디지털바우처 OTT 복지 혜택

[폰 소액 대출] 디지털바우처'디지털 바우처' 시범사업은 취약계층의 디지털 접근권 제고를 위해 바우처를 지급하는 사업으로 2024년 디지털 시대에 발맞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디지털 

moneytongtree.com

 

[장애인 통합복지 카드 11가지 할인혜택]

 

장애인 통합복지 신한카드 2030 체크 11가지 할인과 감면 혜택 받기

장애인 통합복지 신한카드 2030 체크 11가지 할인과 감면 혜택 신한카드의 장애인 통합복지 2030 체크카드는 장애인 복지를 위해 특별히 제작된 카드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혜택 받을 수 있습니다

moneytongtree.com